캣맘이냐, 테러범이냐… 길고양이 밥 한 끼에 벌어진 전쟁

“저 고양이 밥 좀 주면 안 되나요?”
“아니요, 여기 아파트예요. 고양이 때문에 쓰레기 다 뒤집혔어요.”

길고양이를 둘러싼 갈등이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SNS와 맘카페, 지역 커뮤니티에는 “길고양이 밥 주는 사람 때문에 피해 본다”, “고양이들 안 보면 마음이 허전하다”는 상반된 글이 하루에도 수십 건씩 올라온다.

‘캣맘’의 입장: 생명을 위한 최소한의 배려

‘캣맘’은 단순히 고양이에게 사료를 주는 사람을 뜻하지 않는다.
많은 이들이 중성화를 자비로 진행하고, 청소와 사료 그릇 회수 등 관리를 함께 한다.
그들에게 길고양이는 “누군가의 책임은 아니지만, 모두의 연민이 필요한 생명”이다.

  • “길에서 추운 겨울 나는 걸 보면 외면 못 하죠.”
  • “중성화하면 개체 수도 줄어요. 무조건 반대할 게 아니에요.”

환경부는 2025년 기준 연간 약 30만 마리의 길고양이가 전국에 서식하고 있으며,
지자체마다 중성화 예산을 투입해 개체 수 조절을 시도 중이다.

‘캣포비아’의 입장: 일상 침해, 위생, 안전 문제

반면 일부 주민은 캣맘 활동을 ‘불법 급식 행위’로 간주한다.
특히 아파트 단지, 학교 주변, 공원 등 공용 공간에서 벌어지는 사료 급여는
악취, 벌레, 쓰레기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 “아이들이 고양이 물 그릇에 넘어졌어요.”
  • “새벽에 울음소리 때문에 잠 못 자요.”

또한 길고양이로 인한 차량 파손, 알레르기, 배설물 문제 등도 불만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사료 그릇 파손, 고양이 학대 사건까지 벌어지며 감정의 골이 깊어졌다.

문제의 핵심은 ‘소통 부재’와 ‘제도 미비’

‘길고양이 문제’는 결국 공공 갈등이다.
하지만 현재 대한민국에는 ‘캣맘 활동’에 대한 명확한 법적 기준이나 가이드라인이 없다.
일부 지자체는 ‘길고양이 급식소 설치 사업’을 통해 분쟁을 줄이려 하지만,
예산 부족과 주민 반발로 확산되지 못하는 실정이다.

해결을 위한 방법은 없을까?

  • 공식 급식소 설치 및 관리 : 지정된 장소에 위생적으로 운영
  • TNR 확대 및 추적 시스템 강화 : 중성화 후 방사한 개체 관리 필요
  • 주민 간 조율 기구 운영 : 민원 조정 중재자 역할 필요
  • 공공기관 차원의 고양이 교육 캠페인 : 정서적 혐오/편견 해소 필요

캣맘이냐, 테러범이냐… 길고양이 밥 한 끼에 벌어진 전쟁

길고양이는 도시 생태계의 일부다.
누군가에겐 소중한 존재고, 누군가에겐 불편한 존재일 수 있다.
하지만 결국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찾는 것이 진짜 해답이다.

“고양이가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고양이를 대하는 우리의 태도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