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화 한 통에 3억 날렸다… 지금 당장 체크해야 할 보이스피싱 대응법

“한 통의 전화가 평범한 일상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보이스피싱 범죄는 이제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상 속 위협이며, 특히 고령층이나 금융 취약계층만의 문제가 아니다. 최근 사례를 보면 가족을 사칭하거나 저금리 대출을 미끼로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을 가장해 ‘스미싱 링크’를 보내고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방식이 대다수를 차지한다.

전화 한 통에 3억 날렸다… 지금 당장 체크해야 할 보이스피싱 대응법

이 과정에서 발신번호 조작과 AI 기반 음성 변조 기술까지 동원되면서, 피해 가능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디트뉴스24 분석에 따르면 “문자나 연락을 받으면 일단 보이스피싱을 의심하고 가족 또는 지인의 도움을 받거나 즉시 112에 신고하라”는 조언이 피해를 막는 현실적인 대응으로 나타나고 있다.

정부와 경찰, 금융당국이 제시하는 공식 예방법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정체가 불분명한 연락에는 무조건 ‘응하지 않기’다. 어떤 정부기관, 수사기관, 금융기관도 전화를 통해 계좌번호나 OTP, 앱 설치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히 문자나 메신저로 공문을 보낸다는 말은 전부 거짓이다.

둘째, 출처 없는 URL이나 의심스러운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말고, 즉시 가족이나 지인에게 공유하고 112에 신고하는 것이 안전하다. 실제 보이스피싱 신고는 경찰청 112, 금융감독원 1332, 한국인터넷진흥원 118 등을 통해 가능하며, 통합 제보도 운영되고 있다.

셋째, 은행에서 제공하는 ‘지연이체’ 또는 ‘입금계좌지정’ 서비스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피해를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데 효과적이다. 지연이체는 일정 시간이 지나야 이체가 완료되도록 하는 방식이며, 입금계좌지정은 미리 등록된 계좌 외에는 소액만 이체 가능하도록 제한해주는 기능이다. 이는 은행 방문이나 인터넷뱅킹으로 쉽게 신청할 수 있다.

경찰청이 안내하는 보이스피싱 예방 수칙도 실천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범죄 연루로 자금이체 요구’, ‘대출 진행 중 기존 대출금 요구’, ‘문화상품권이나 기프트카드 PIN 요구’, ‘가족 납치 협박 전화’ 등은 전형적인 수법이다. 이런 경우는 무조건 전화를 끊고 112에 신고하거나 주변 사람에게 알리는 것이 가장 빠르고 안전한 대처법이다.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보이스피싱 탐지 앱 설치도 필수다. 대표적으로 ‘시티즌코난’은 문자에 포함된 의심 링크나 악성 앱을 탐지해 즉시 삭제해주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 많은 금융기관에서 적극적으로 추천하고 있다. 문자나 전화 수신 시 자동 경고 기능도 반드시 활성화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금융상담센터 등에서는 AI 기반 음성 분석으로 의심스러운 통화를 탐지해 보이스피싱 전담팀으로 자동 연결하는 기술도 도입되고 있으며, 향후 스마트폰 내장 보안 기능도 강화될 예정이다. 이러한 기술적 대응은 결국 사용자의 경각심과 함께 작동할 때 진정한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보이스피싱 피해가 실제로 발생했을 경우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지급정지 요청이다. 해당 계좌로 이체된 돈이 인출되기 전에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지급정지를 요청해야 한다. 이후에는 ‘피해구제 신청’을 통해 환급 절차를 밟게 되는데, 통신사기환급법 개정으로 피해 금액이 1만 원 이상이면 누구나 신청 가능하다.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보이스피싱 지킴이’ 사이트나 ‘금융소비자 정보포털’을 통해 피해 사례와 환급 절차를 숙지해 두는 것도 필요하다. 일상에서 항상 긴장을 유지하고, 경계심을 생활화해야 피해를 막을 수 있다.

결국 보이스피싱 대처법은 단순한 정보 숙지가 아닌 실천이다. 항상 의심하고, 확인하고, 주변과 공유하는 태도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 사회의 금융 안전은 각자의 경각심에서 시작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