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설탕 젤리도 안심 못한다… 당신도 모르게 이 썩는 진짜 이유”

“무설탕 젤리도 안심 못한다… 당신도 모르게 이 썩는 진짜 이유”

단맛 중독자라면 한 번쯤은 들어봤을 말이다. “젤리 많이 먹으면 이 썩는다.” 그런데 이게 정말일까? 단순한 엄마의 겁주기일까? 아니다. 이 말엔 분명한 과학적 근거가 있다. 특히 젤리는 다른 단 음식보다도 치아에 더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 젤리, 충치를 유발하는 3대 요소 다 갖췄다

  1. 당 함량이 높다 젤리는 100g당 40~60g 이상 당을 포함한다. 이는 하루 당류 권장 섭취량을 가볍게 넘길 수 있는 수준이다. 입속 박테리아, 특히 스트렙토코커스 뮤탄스가 이 당을 분해하며 산을 만들어낸다. 이 산이 치아를 부식시키는 주범이다.
  2. 끈적거림이 강하다 젤리는 끈적이는 성질 때문에 치아 틈이나 어금니의 홈에 쉽게 달라붙는다. 일반 초콜릿보다도 오래 머무르며 산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킨다. 이는 충치의 발생 속도를 높인다.
  3. 산성 첨가물이 많다 특히 신맛 나는 젤리엔 구연산, 사과산 등 산성 성분이 첨가돼 있다. 이런 성분은 치아의 표면층인 법랑질을 약하게 만들어 마모와 충치를 유발한다.

■ 젤리를 먹으면서도 충치를 피하는 4가지 방법

  1. 젤리 먹은 직후 물로 입 헹구기 산성이나 당 성분을 빠르게 씻어내는 것만으로도 치아 손상을 줄일 수 있다.
  2. 양치질은 30분 후에 하기 산성 식품 섭취 직후엔 치아 표면이 약해져 있다. 이때 양치하면 오히려 법랑질 손상이 생긴다. 30분 후 불소 치약으로 양치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3. 무설탕 또는 저당 젤리 선택하기 충치 위험을 낮추기 위해 무설탕, 저당 제품을 선택할 수 있지만 산성 성분은 여전히 포함돼 있을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4. 치실과 가글 필수 젤리는 치아 틈새에 잘 낀다. 칫솔만으로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치실과 가글을 병행해야 한다.

■ 통계로 보는 젤리와 충치의 상관관계

  • 설탕이 포함된 간식을 하루 3회 이상 먹는 아이들의 충치 발생률은 2.5배 높다
  • 점성이 높은 식품이 과자보다 치아에 오래 남아 충치를 유발한다는 연구 결과 존재
  • 대한치과협회, “점성이 높고 당 함량이 많은 식품은 어린이 충치의 주범”이라고 명시

■ 자주 묻는 질문

Q. 무설탕 젤리도 충치 유발하나?

A. 유발할 수 있다. 산성 첨가물로 인해 법랑질이 약해지고, 당알코올이 잔류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Q. 젤리를 자주 먹지만 충치가 없는데?

A. 초기 충치는 겉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정기적인 검진이 필요하다.

Q. 식사 후 젤리를 먹으면 괜찮나?

A. 식사 후 이미 산성화된 입속 환경에 젤리를 더하면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물로 헹군 후 섭취하는 것이 더 낫다.

■ 어린이에게 더 위험한 이유

아이들의 치아는 법랑질이 얇아 산에 취약하다. 또 양치 실력이 부족해 잔여 젤리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하면 충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보호자의 지도와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 이런 사람이라면 위험 신호

□ 하루 젤리 섭취량이 50g 이상이다
□ 젤리 먹고 물로 헹구지 않는다
□ 치실과 가글을 사용하지 않는다
□ 6개월 이상 치과 검진을 받지 않았다

단맛에 이끌려 무심코 손에 들었던 젤리. 이 작은 간식 하나가 당신의 치아를 서서히 무너뜨릴 수 있다. 젤리를 완전히 끊기 어렵다면, 최소한 올바른 섭취 습관과 구강 관리로 피해를 줄여야 한다. 건강한 치아는 습관에서 시작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