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만 신용사면자 중 33% 재연체…올해 연체액 28.5조원 돌파, 도덕적 해이 논란 커진다”

1. 신용사면 재연체, 통계가 드러낸 충격적 현실

2025년 9월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자료를 통해 공개된 내용에 따르면, 지난해 신용사면을 받은 286만 7,964명95만 5,559명(약 33.3%)이 사면 후 다시 돈을 빌리고 연체하는 재연체자로 확인되었다.

이들이 사면 후 금융권에서 새로 빌려간 금액은 38조 3,249억원에 달하며, 2025년 7월 말 기준으로 그 중 28조 5,160억원이 여전히 미상환 상태, 즉 연체 중이다. 즉, 빌린 금액의 약 73.7%가 상환되지 않고 있다는 뜻이다.

2. 신용사면의 구조와 연체 발생의 구체 지점

  • 신용사면 이후 연체가 많이 발생한 곳은 1·2금융권이다.
    1금융권에서 대출받은 인원은 약 39만 6,612명, 대출액은 16조 6,413억원으로 전체 대출액의 약 43.4%를 차지한다.
    2금융권(저축은행, 카드, 보험 등)이 차지하는 비중도 상당하여, 약 79만 8,006명, 17조 717억원을 차용해 전체의 44.6% 수준임.
    나머지 17만 6,649명은 3금융권 및 대부업 등을 통해 약 4조 6,120억원을 대출받음.

3. 왜 ‘신용사면→재연체’인가: 도덕적 해이 걱정

이 같은 수치는 단순한 재정 지표를 넘어서 여러 사회·경제적 쟁점을 불러일으킨다.

  1.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
    신용사면 제도가 반복적으로 시행되며, 사면을 받으면 신용기록이 지워진다는 기대가 생기면 일부 채무자들은 상환의 긴박감을 덜 느낄 수 있다.
  2. 신용질서·금융 리스크 증가
    연체가 많아지면 금융기관들은 차주의 상환 가능성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전체적인 대출 금리나 조건이 더 엄격해질 수 있다.
  3. 성실한 차주의 박탈감 및 형평성 문제
    수 년간 빚을 제때 갚아온 이들에게는 ‘사면자 특혜’라는 인식이 생겨 불만이 커질 수 있다.
  4. 정책의 지속 가능성 문제
    큰 규모의 신용사면이 반복되면 정부·금융당국의 재정 부담, 신용정보시스템의 신뢰성 저하, 은행권의 채권 회수 부담 등이 누적됨.

4. 정부 정책 대응 및 향후 과제

  • 정부는 최근 5,000만원 이하 연체 채무자를 대상으로 “연말까지 전액 상환 시 연체 기록 삭제” 조치를 준비 중임을 발표함.
    이 조치는 역대 최대 규모 신용회복 지원 조치로 평가받고 있음.
  • 그러나 자료에서 보듯, 신용사면 이후에도 상당수가 재연체 상태로 남아 있음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단순한 사면 확대만으로는 문제 해결이 어려움.
  • 제안할 수 있는 추가 대책:
    1. 선별적 사면 정책 강화
      • 채무자 개인의 소득, 자산, 상환 이력 등을 고려해 실제 상환 여력이 있는 사람 중심으로 혜택을 부여
      • 반복적 연체자 또는 상환 의지가 낮은 사람은 조건을 강화
    2. 사후 모니터링 및 책임 강화
      • 사면 후 일정 기간 동안 상환 이행 여부를 추적하고, 미이행 시 불이익이 있는 구조 마련
      • 연체자에 대한 금융기관의 고지 및 상담, 재무 교육 강화
    3. 신용정보 시스템의 투명성 제고
      • 연체 및 사면 기록 삭제 기준, 시점, 대상 등을 명확히 공개
      • 성실 상환자 및 일반 이용자에 대한 불이익이 없도록 가산금리나 대출 한도 정책에서 균형 유지
“286만 신용사면자 중 33% 재연체…올해 연체액 28.5조원 돌파, 도덕적 해이 논란 커진다”

신용사면은 경제적 약자와 연체 차주에게 재기의 기회를 제공하는 제도로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하지만 지난해 통계가 보여주듯, 신용사면 후 재연체 비율(약 33%)과 미상환 연체액(28.5조원 규모)은 그 취지를 훼손할 만큼 규모가 크며, 금융시스템과 신용질서에 부담을 주고 있다.

정부 및 금융당국은 사면 자체를 확대하기 전에, 사면 이후의 책임 있는 관리와 형평성 확보, 그리고 도덕적 해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 설계에 더욱 심혈을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