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 속 차 안에 두면 안 되는 물건들…“폭발·부패·중독 위험까지”

차량 내부 온도 최대 90도까지 상승…여름철 보관 주의사항

연일 폭염 특보가 이어지면서 차량 내부 온도가 급상승하고 있다. 최근 서울의 한 아파트 주차장에 세워둔 차량 안 온도를 측정한 결과, 외기온 35도일 때 차 안은 15분 만에 65도, 30분 만에 85도 이상까지 올라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뜨거운 여름철, 무심코 차 안에 두고 내린 물건들이 폭발하거나 변질돼 심각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image 39

여름철 차 안에 두면 절대 안 되는 물건은 다음과 같다.

  • 스프레이류 (헤어스프레이, 살충제 등)
  • 라이터
  • 휴대용 보조배터리·전자기기
  • 플라스틱병 생수·음료
  • 약품·화장품
  • 음식물

전문가들은 “차량 내 폭염 환경은 밀폐된 오븐과 비슷한 조건”이라며, 관련 물품은 반드시 외부 반출하거나 그늘진 장소에 보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1. 스프레이·라이터는 ‘폭발 위험’

헤어스프레이, 방향제, 살충제 등 고압 스프레이 용기는 고온 환경에서 내부 압력이 급상승한다. 차량 내부 온도가 70도를 넘기면 폭발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일반 라이터의 인화점은 약 60도 수준이라, 대시보드 위에 올려둔 라이터 하나가 주차된 차량 전체를 불태운 사례도 존재한다.


2. 보조배터리·전자기기는 화재 가능성

리튬이온 배터리가 내장된 보조배터리,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기 등은 고온 노출 시 내부 팽창·누액·폭발 가능성이 있다. 배터리 제조업체 관계자들은 “차 안 직사광선 아래 장시간 방치는 권장하지 않는다”고 명시하고 있다.
실제 미국에서는 아이패드를 차 안에 두고 외출했다가 차량 화재가 발생한 사례도 보고됐다.


3. 생수병·음료병, 플라스틱에 주의

PET병에 담긴 생수나 음료를 차 안에 장시간 두면, 플라스틱에서 환경호르몬(BPA 등)이 용출될 수 있다.
한 연구에 따르면, 생수병을 60도 이상에 6시간 이상 방치할 경우 비스페놀A(BPA) 검출량이 기준치를 초과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는 장기적으로 내분비계 교란, 생식기 이상, 성장 저해로 이어질 수 있다.


4. 약품·화장품, 효능 사라져

여름철 차량 안에 약을 두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해열제·소화제 등 일반 의약품은 직사광선 및 고온에 노출되면 유효 성분이 파괴되고, 일부 성분은 변질돼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화장품 역시 유화제와 보존제 분리가 일어나면서 내용물이 상하거나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다. 특히 자외선 차단제나 립밤류는 고온에 녹아내리거나 변색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5. 음식물은 부패 속도 가속

음식을 차 안에 두는 것은 ‘작은 냉장고’가 아니라 ‘작은 오븐’에 넣는 것과 같다.
특히 유제품, 육류, 계란 등이 들어간 도시락류는 30도 이상에서 2시간만 지나도 식중독균이 증식할 수 있다.


▷ 여름철 차량 내 보관 금지 품목 요약

구분위험 물품주요 위험
폭발스프레이류, 라이터, 보조배터리용기 파열, 화재 발생
변질생수병, 음료병, 의약품, 화장품환경호르몬 용출, 유효 성분 파괴
부패도시락, 간식류, 유제품 등식중독균 증식, 악취 발생

한여름의 차량 안은 단순히 ‘뜨거운 공간’이 아니라, 폭발·화재·중독·부패가 일어날 수 있는 밀폐된 고위험 구역이다.
여름철 외출 전 반드시 차량 내부를 확인하고, 절대 두고 내리면 안 되는 물건들을 점검하는 습관을 갖자.
더운 날씨만큼, 사소한 부주의가 더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