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하다 실신?”- 폭염에 운동하면 생기는 몸속 5가지 재앙

여름철 무더위, 특히 기온이 30도 이상일 때 운동을 시작하면 우리 몸은 곧바로 위기 모드에 들어간다.
운동 자체로 열이 발생하고, 고온환경과 겹치면 땀 배출만으로는 체온 조절이 어려워진다.
실제로 심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열사병이나 급성 장기 손상 가능성이 급증한다.

  1. 체온 상승과 체온 조절 실패

운동 중에는 내부에서 생성되는 열을 피부 표면으로 이동시켜 땀으로 식히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고온·고습 환경에서는 땀의 증발이 어려워 체온 상승 → 혈관 확장↑, 내부 혈량↓, 심박수↑ 등으로 이어진다.
이 현상을 cardiovascular drift라고 부르며, 운동 효율은 떨어지고 심장 부담은 커지게된다.

  1. 탈수와 전해질 손실

땀을 통한 수분 손실은 물론, 나트륨·칼륨 등 전해질도 빠르게 빠져나간다.
이는 근육경련, 두통, 어지럼증은 물론 심할 경우 저혈압·실신까지 유발할 수 있다.

  1. 열피로 → 열탈진 → 열사병

체내 열이 조절되지 않으면 열탈진(heat exhaustion)이 시작되며, 증상으로는 심한 발한, 어지러움, 구역감, 쇠약 등이 나타난다. (심부체온 37~40℃) 더 악화될 경우 열사병(heat stroke)으로 발전하며, 40℃ 이상 고열 + 혼수, 경련, 다발성 장기 손상까지 이어질 수 있다.

  1. 뇌 기능 및 운동 능력 저하

엄격한 열스트레스 상황에서는 집중력·판단력 저하, 어지럼증·기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심지어 근육 효율 저하, 피로 누적, 회복력 약화까지 불러온다.

  1. 적응은 가능하지만 시간이 필요하다

1~2주간의 열 적응(heat acclimation)을 통해 땀 배출량 증가, 심박수 반응 완화, 전해질 보존력 향상 등의 변화가 일어나며, 고온환경에서도 신체 기능을 일부 회복할수는 있다. 하지만 이 기간 중에도 지속적인 수분·전해질 보충과 과도한 운동은 피하는 것이 필수이다.

[권장사항]

  • 운동 시간
    새벽 6시~9시, 혹은 저녁 7시 이후 등 온도가 낮은 시간대에 운동
  • 운동 장소
    그늘·실내·냉방 공간, 통풍 잘 되는 환경 추천
  • 수분 섭취
    20분마다 물 240ml, 땀 많이 날 경우 전해질 음료 병행
  • 옷차림
    가볍고 통기성 좋은 밝은색 기능성 의류
  • 운동 강도
    강도 줄이고, 시간 짧게 (50~70% 강도로 조절)
  • 적응 기간
    열에 처음 노출될 경우 7~14일에 걸쳐 적응 시간 확보
“운동하다 실신?"- 폭염에 운동하면 생기는 몸속 5가지 재앙

폭염에서의 운동은 체온 조절, 수분 전해질 보충, 심장의 부담, 뇌 기능 저하 등 다방면에서 위험할 수 있다.
하지만 시간대 조절, 수분 보충, 열 적응 기간 확보, 운동 강도 조절 등을 통해 위험을 최소화하며 건강한 운동은 충분히 가능하다. 안전이 최우선이며, 몸 상태를 살피며 천천히 시작해 적응하는 루틴이 바람직하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