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류코보린이란 무엇인가
- 류코보린은 폴리닉산(folinic acid 또는 calcium folinate) 으로도 불린다. 즉, 일반 엽산(folic acid)의 활성 형태(active form)의 하나다.
- 구조적으로 엽산과 비슷하지만, 엽산저해제(folate antagonists)의 작용을 막거나 조정하는 보조제로 작용한다.
작용 원리
- 류코보린은 신체에서 엽산의 활성화된 형태로서, DNA 합성 및 세포 분열에 필요한 엽산 경로(folate metabolism)를 복구하거나 보완한다.
- 고용량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치료 시, 메토트렉세이트가 엽산 경로를 억제해 암세포뿐 아니라 정상 세포에도 손상을 준다. 이때 류코보린은 정상 세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 역할을 한다 (‘해독제 역할’)
- 또한 플루오로우라실(5‑FU) 같은 항암제와 병용 투여되면 항암 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5-FU + 류코보린 조합이 대장암 치료 프로토콜(예: FOLFOX, FOLFIRI 등)에 포함된다.
적응증 (사용되는 경우)
주요 적응증은 다음과 같다:
상황 | 설명 |
---|---|
메토트렉세이트의 독성 예방 및 완화 | 고용량 메토트렉세이트 치료 후 정상 세포가 받는 손상을 줄이기 위해 사용됨 |
5‑FU 병용 항암요법 | 특히 대장암 등의 항암 치료에서 5‑FU의 효과를 강화하거나 병용치료 프로토콜에 포함됨 |
엽산 결핍 치료 | 신체 내 엽산이 부족할 때, 또는 엽산을 제대로 활성화하지 못하는 경우 활성형 엽산의 공급원으로 사용됨 |
메토트렉세이트 과량 투여 시 해독 | 과다투여(overdose)나 계획치보다 메토트렉세이트 축적이 우려될 때 투여됨 |
투여 방법 및 용량
- 제형: 경구용 정제(tablet), 정맥(IV) 주사, 근육 주사 등의 형태가 있음.
- 용량 및 투여 간격은 치료 목적, 환자의 상태, 병용 약물, 신장 기능 등에 따라 달라짐. 예를 들어 메토트렉세이트 독성 예방 목적일 경우 치료 후 일정 간격마다 여러 회 투여함.
주의사항
- 일반적으로 잘 견디는 약물이지만, 일부 환자에게는 알레르기 반응(발진, 두드러기 등), 위장 장애, 발열 등이 나타날 수 있음.
- 특히 메토트렉세이트 치료 시 투여 간격이 맞지 않거나 투여 시기가 지연되면 보호 효과가 저하됨.
- 신장 기능 저하 환자에서 배설 지연 가능성이 있어 용량 조정 또는 투여 빈도 조절 필요.
치료 효과와 의료 현장에서의 활용
- 특히 대장암 치료 분야에서 류코보린 + 5‑FU 조합은 보조 항암요법(adjuvant therapy)의 일환으로 널리 사용됨. 예: FOLFOX 요법 (5‑FU + 류코보린 + 옥살리플라틴) 등.
- 임상적으로는 암 환자의 치료 성과 개선, 부작용 감소,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보완 약제로서 중요성이 인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