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폭 이력자, 대입 문턱서 ‘철벽’ 맞았다…45명 불합격 사태”

“학폭 이력자, 대입 문턱서 ‘철벽’ 맞았다…45명 불합격 사태”

최근 국내 대학입시에서 학교폭력 가해 이력이 있는 지원자들이 합격 문턱을 넘지 못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특히 2025학년도 대입 전형에서 거점 국립대 6곳이 학폭 이력을 파악해 총 45명의 지원자를 불합격 처리했다는 공식 자료가 나왔다.

1. 어느 대학에서 얼마만큼?

자료에 따르면 경북대학교에서 가장 많은 불합격자가 나왔다. 경북대는 수시 모집에서 19명, 정시 모집에서 3명 등 총 22명의 학폭 이력 지원자를 전원 불합격 처리했다. 이어서 부산대학교는 수시 6명·정시 2명(총 8명), 강원대학교는 수시 5명, 전북대학교는 수시 4명·정시 1명(총 5명) 등이 불합격 처리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서울대학교에서도 정시 지원자 2명이 학폭 이력으로 인해 불합격된 것으로 나타났다.

2. 제도 변화와 반영 방식

이번 발표된 수치는 2025학년도 대입에서 대학들이 자율적으로 학폭 이력을 평가요소로 반영한 결과다. 2026학년도 입시부터는 모든 대학, 모든 전형에서 학폭 이력을 입시 평가에 반드시 반영하도록 규정이 바뀌었다.
학폭 조치 사항은 처분의 경중에 따라 △1호 서면사과 △2호 접촉·협박·보복 금지 △3호 교내봉사 △4호 사회봉사 △5호 특별교육·심리치료 △6호 출석정지 △7호 학급교체 △8호 전학 △9호 퇴학 등으로 구분된다.
일례로 경북대는 1~3호에 대해 10점 감점, 4~7호에 50점, 8~9호에 150점 감점하는 방식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3. 의미와 파장

이 같은 조치는 단지 개별 대학만의 운용이 아니라 사회적 공정성과 안전성 확보 차원으로 해석된다. 학폭 가해 이력자가 우수한 성적을 바탕으로 입시에 도전하더라도 ‘인성’이나 ‘사회적 책임’ 측면에서 제동이 걸리는 셈이다.
그럼에도 실제로는 처분 기준, 감점 폭, 지원 자격 제한 등 대학마다 운영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형평성 논란도 일고 있다.

또한, 학폭 이력이 공식적으로 입시에 반영되기 시작하며 수험생 및 학부모 사이에 새로운 불안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고교생활기록부에 학폭 관련 조치가 삭제됐더라도 일부 대학 면접이나 서류평가에서 참고자료로 활용된다는 보도도 있다.

4. 향후 전망

2026학년도부터 모든 대학 전형에 학폭 이력 반영이 의무화되는 만큼, 앞으로 ‘학폭 없고 성적 우수한 지원자’에 대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대학은 학폭 조치 수준과 입시 영향력 사이의 적정한 균형점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감점 방식이 과도하면 ‘과거 실수로 인생이 결정된다’는 비판을 받을 수 있고, 반대로 느슨하면 제도의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대입에서 학폭 이력이 더 이상 단순한 과거 기록이 아닌 합격 여부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로 자리잡고 있다. 학폭 관련 키워드로 검색시 “학폭 불합격”, “대입 학폭 이력 반영”, “대학 입시 학교폭력” 등이 주요 검색어로 부상하고 있으며, 이는 수험생과 학부모가 주목해야 할 변화다.
이번 사례는 “좋은 성적만으로는 충분치 않다”는 현실을 보여준다. 성적뿐 아니라 고교 시절의 인성과 책임감까지 입시 평가에 반영되는 새로운 시대가 열린 것이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