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도 사람도 물난리 피하려면 지금 당장 해야 할 것들” — 폭우 대비 꿀팁 총정리

image 99 9

한 번 쏟아지면 도시 전체가 마비되는 폭우. 특히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시간당 50mm 이상’의 국지성 집중호우가 예고 없이 내리는 요즘, 그 피해는 단순 침수 수준을 넘어 생명까지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사전에 ‘딱 이것만’ 준비해두면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누구나 바로 실천할 수 있는 폭우 대비 꿀팁을 총정리했다. 서울, 수도권 등 도심 거주자부터 단독주택이나 반지하 주택, 상가 세입자까지 모두가 꼭 알고 있어야 할 내용이다.


■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집안 점검 리스트’

하수구, 배수구, 물 빠지는 길목 청소하기
폭우의 1차 피해는 배수가 안 되는 데서 시작된다. 집 주변의 하수구, 베란다 배수구, 빗물받이 등에 낙엽, 담배꽁초, 비닐 쓰레기 등이 쌓여 있으면 물이 역류한다. 맨손으로 긁어내도 좋고, 장갑과 쓰레받기를 활용해 말끔히 비워두자.

방충망, 창문 틈, 베란다 실리콘 마감 상태 확인
유리창 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드는 일이 많다. 오래된 아파트나 빌라일수록 실리콘 마감이 삭은 경우가 많아 물이 실내로 들이치는 원인이 된다. 마감이 헐거워졌다면 실리콘을 새로 도포하거나 방수 테이프라도 붙여 임시 조치하자.

전기 콘센트 위치 파악 및 고정
바닥에 설치된 콘센트는 침수 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저지대나 반지하의 경우 특히 콘센트 위치를 미리 파악해두고, 가능한 한 가전제품 코드를 뽑아두는 게 좋다.


■ ‘반지하·1층’ 저지대 주거자 필수 준비사항

역류방지 밸브 설치 여부 확인
하수구 물이 역류하는 것을 막아주는 밸브. 수도권 일부 지역은 설치 지원도 해준다. 없을 경우 임시로 배수구에 고무마개나 젖은 수건을 밀어 넣어 틈을 막는 것도 방법이다.

모래주머니, 수방자루 확보
창틀 아래, 출입문 앞에 쌓아두면 물 유입을 막는 1차 방어선이 된다. 모래주머니는 동 주민센터, 지자체, 소방서에서 무료 배부하거나 대여해주는 곳이 많다. 온라인으로 구매도 가능하다.

중요 서류 및 전자기기 고지대 보관
주민등록등본, 보험증서, 계약서, 여권, 졸업장 등은 꼭 방수지퍼백에 넣어 높은 선반이나 상자에 보관하자. 외장하드, 노트북, 스마트폰 충전기 등도 마찬가지다.


■ 폭우 중 반드시 피해야 할 행동

차량 운전 시 ‘지하차도’ 진입 금지
2022년과 2023년에도 집중호우로 인한 사망사고가 다수 발생한 곳이 바로 지하차도다. “30cm면 차량이 뜨고, 60cm면 통제 불가”라는 말이 있다. 앞차가 간다고 해서 따라 들어가면 안 된다.

공사장, 산비탈, 하천 산책로 접근 금지
비 오는 날엔 토사가 무너질 위험이 크고, 하천은 갑자기 수위가 불어나 순식간에 휩쓸릴 수 있다. 특히 한강, 탄천 등 도심 하천 산책로는 침수 전에도 출입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으니 표지판 확인이 필수다.

전선 근처 접근 금지
비로 인해 감전 위험이 크다. 길가에 끊어진 전선이나 전신주, 지하철 역사 주변의 전기함 근처엔 절대 가까이 가지 말 것. 신고가 필요할 경우 119 또는 112로 즉시 연락한다.


■ 차량 보유자라면? 침수 대비 이렇게

image 99 10

차량 보험 특약 ‘자차 침수 피해 보상’ 가입 여부 확인
침수 피해는 기본 보험으로는 보상되지 않는다. ‘자기차량손해보험’에 가입돼 있어야 하고, ‘자연재해 특약’까지 들어 있어야 보상 대상이 된다. 여름철 시작 전, 꼭 확인하고 특약을 추가하는 게 좋다.

주차는 반드시 고지대나 2층 이상에
지하주차장은 침수 시 차량 전체가 수몰되는 경우가 많다. 외부 노상주차라도 경사가 낮은 곳은 위험하다. 인근 고지대 공영주차장 개방 정보는 구청 홈페이지나 행정안전부 ‘행안복지포털’ 등에서 확인 가능하다.


■ 휴대폰에 꼭 설치해두어야 할 앱 3가지

  1. 기상청 날씨누리 – 지역별 호우경보, 실시간 레이더 이미지 확인 가능
  2. 안전디딤돌 – 민방위 경보, 재난 문자, 대피소 정보 통합 제공
  3. 스마트국민제보 – 위험 시설물 발견 시 사진 및 위치를 즉시 신고 가능

이 외에도 네이버 ‘스마트시티’ 지도에서 침수 위험 예보, 하천 수위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 폭우 이후에도 안심은 금물

정전 시 촛불 사용 금지
양초는 작은 불씨로도 화재로 번질 수 있다. 정전이 되면 랜턴, 손전등, 스마트폰 플래시를 활용해야 한다. 여분의 건전지를 함께 준비해두는 것이 좋다.

곰팡이와 세균 번식 차단하기
침수 후 최소 3일간은 환기와 제습이 필수다. 젖은 가구나 옷은 신속히 버리거나 햇빛에 말려야 곰팡이를 막을 수 있다. 락스 계열의 살균소독제를 뿌려주는 것도 중요하다.


■ 기억해야 할 비상 연락처

  • ☎️ 119: 구조 요청, 감전·침수 사고 발생 시
  • ☎️ 112: 치안 관련 긴급 상황
  • ☎️ 120 다산콜센터: 서울시 폭우 관련 행정 지원
  • ☎️ 구청 재난안전과: 수방 물품 대여, 대피소 안내

기후위기의 시대, ‘폭우는 남의 일이 아니다’.
몇 가지 사전 준비만으로도 생명과 재산을 지킬 수 있다.
이 글을 읽는 지금, 당장 하수구부터 한 번 열어보는 건 어떨까.
작은 실천 하나가 다음 침수의 가장 큰 방패가 된다.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