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Cambodia에서 활개 치는 대규모 온라인 사기 및 인신매매 범죄조직과 North Korea(북한) 정권과의 연결고리가 복수의 국제 조사기관 및 언론보도를 통해 확인되면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 캄보디아 범죄조직 실태
캄보디아는 최근 온라인 사기를 중심으로 한 범죄조직의 온상이 된 나라로 평가되고 있습니다.
- 국제언론에 따르면, 캄보디아 당국이 사기센터 단속을 강화한 결과 2025년 상반기 동안 수천 명이 체포·추방됐다고 합니다.
- 또한 Amnesty International 등 인권단체는 캄보디아 내 온라인 사기센터가 인신매매·강제노역·고문 등 중대한 인권침해를 내포한 구조라고 지적했습니다.
- 이런 조직의 구조는 주로 SNS 또는 채용사이트를 통해 “캄보디아에서 좋은 일자리”라는 미끼로 외국인을 유인한 뒤, 사무실이나 숙소에서 강제적으로 사기전화를 걸게 하는 방식이 많다고 전해집니다.
이처럼 캄보디아는 범죄조직이 운영하기에 제도적으로 취약한 금융 인프라·관할구역외감독 한계 등이 겹쳐 ‘범죄 허브’로 지목되어 온 상황입니다.
2. 北(북한)과의 연결고리: 어떤 증거들이 나왔나
최근 발표된 다국가 조사 결과 및 언론보도에 따르면, 북한 정권이 캄보디아를 포함한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금융·사이버 범죄조직과 협업하며 자금세탁 및 사이버 공격 거점을 만든 정황이 드러났습니다.
- 미국 재무부 산하 Financial Crimes Enforcement Network은 캄보디아 프놈펜에 본사를 둔 Huione Group을 북한의 사이버 공격과 암호화폐 탈취 자금세탁을 돕는 ‘핵심 노드’로 규정하고 미국 금융망에서 차단했습니다.
- Multilateral Sanctions Monitoring Team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은 2024년부터 2025년 사이 약 28억 4천만 달러(미화) 규모의 암호화폐를 훔쳐내고 이를 캄보디아 내 플랫폼을 통해 세탁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보고서는 또한 북한 정보기관이 2022년부터 최소 1 년 이상 Huione 플랫폼의 임직원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 왔으며, 이를 통해 자금 흐름을 은폐하고 국제제재를 회피해 왔다고 분석했습니다.
즉, 북한 정권이 전통적인 군사 및 핵 프로그램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캄보디아를 포함한 제3국의 범죄조직 및 금융체계를 활용해 왔다는 것이 이번 보도의 핵심입니다.
3. 왜 이 문제가 국제적으로 중요한가
이 사안이 단순히 지역 범죄조직의 문제를 넘어서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북한이 국제제재 하에서 핵무기·미사일 개발을 위한 자금을 마련하는 데 범죄조직과 제3국을 경유했다는 사실은 안보·재정·사이버 위협의 교차점에 위치합니다.
- 캄보디아 같은 국가가 범죄허브화 될 경우, 단순 범죄뿐 아니라 국가주권 훼손·외국인 인신매매·국제 금융 범죄의 온상이라는 차원에서 주변국 및 국제사회의 부담이 커집니다.
- 한국·미국 등은 이미 이 문제를 인식하고 있으며, 한국 정부는 캄보디아 기반 범죄조직에 대한 금융제재 검토에 들어갔습니다.
이처럼 북한-캄보디아 범죄네트워크 연결은 지역안보 및 국제금융질서에 중대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사안입니다.
4. 한국 및 국내 영향과 대응
한국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 한국 정부는 캄보디아에 거주하거나 유입되는 한국인 대상 채용사기 및 해외 사기센터 피해가 급증하자, 여행경보를 특정 지역으로 확대했고 관련 범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또한 한국 금융당국은 캄보디아 기반 범죄네트워크와 연계된 사업체 및 계좌에 대해 자산동결 및 제재 가능성을 검토 중입니다.
- 한국 정보기관도 이와 관련해 “캄보디아에 약 2 만 명 이상 온라인 사기 관련 조직원이 있고, 한국인도 수백 명 연루돼 있다”는 추정치를 내놓는 등 실태 파악에 나섰습니다.
이런 흐름은 한국 정부 입장에서는 자국민 보호는 물론, 국제 범죄역량 강화 측면에서도 중요한 과제입니다.
5. 남은 과제와 전망
- 제3국의 제도적 취약성 강화: 캄보디아 내 범죄조직이 활동하기 좋은 환경이 지속되는 한, 북한과 같은 정권이 이를 이용하는 흐름은 지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 다자간 협력 강화: 북한-캄보디아 연결은 단일국가 차원으로 대응하기 힘든 구조이므로 미국·한국·일본·ASEAN 국가 간 정보공유 및 합동제재 체계가 필요합니다.
- 금융·암호자산 규제 강화: 북한이 암호화폐 탈취 및 자금세탁을 통해 자금원을 마련해 온 만큼, 디지털 자산 분야에서의 규제 및 추적 기술이 중요합니다.
- 피해자 보호 및 인신매매-강제노동 대응: 캄보디아 내 사기센터 피해자 대부분이 외국인이며 인신매매적 요소가 내포돼 있다는 보고가 있으므로, 관련 국제인권 규범 적용 및 피해구제 강화가 시급합니다.
캄보디아의 범죄조직이 단지 지역적 문제가 아닌, 북한 정권까지 연루된 국제적 범죄연계 구조의 일부라는 사실은 매우 시사적입니다. 우리 모두는 이 문제가 단순히 국경을 넘는 사기가 아니라, 국가주권·안보·금융질서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사안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습니다. 한국을 비롯한 관련국은 자국민 보호뿐 아니라 국제공조체계를 강화하고, 제3국의 제도적 취약성을 줄이는 등의 광범위한 대응이 요구됩니다. 이 흐름이 얼마나 빨리 변화하느냐가 앞으로 국제 범죄 대응의 분수령이 될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