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을 마시는 것만큼 수분 보충은 우리 건강에 필수다. 하지만 매일 물만 마시는 것이 지루하거나, 다른 맛 있는 음료를 찾는 사람들이 많다. 차(tea)가 물의 대체제가 될 수 있을까? 그리고 어떤 차들은 오히려 수분 보충에 방해가 될까? 현재까지의 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물 대신 마셔도 괜찮은 차 종류와 피해야 할 차 종류, 그리고 주의할 점을 명확히 정리해본다.
1. 차로 수분 보충이 가능한가?
- 녹차(green tea)를 포함한 카페인 있는 차(caffeinated tea)가 가벼운 탈수(hypohydration) 상태에서도 물과 유사한 수준의 체내 수분 균형(fluid balance) 회복을 돕는다는 연구 결과가 있음.
- 검정차(black tea)도 여러 인체 실험에서 물이 주는 수분 보충(hydration) 효과와 유의미한 차이 없이 비슷한 효과를 냄이 확인됨.
- 허브차(herbal teas), 루이보스(rooibos), 히비스커스(hibiscus) 등 무카페인 또는 낮은 카페인 함량의 차들은 카페인이 없는 만큼 수분 보충에 더 유리하다는 전문가 조언 많음.
따라서, 차는 물의 완전한 대체는 아니지만, 적당히 마신다면 하루 수분 섭취량에 유의미한 보탬이 된다.
2. 물 대신 마시면 좋은 차 종류
아래 차들은 수분 보충 목적을 위해 물 대신 또는 함께 마시면 비교적 건강하고 안전하게 여겨지는 차들이다.
차 종류 | 장점 | 권장 시점 / 방법 |
---|---|---|
히비스커스 차 (Hibiscus Tea) | 무카페인이며, 항산화 물질 풍부. 전해질(trace electrolytes: 칼륨, 마그네슘 등) 보충에도 도움됨. 흥미로운 맛과 색감으로 물 마시는 부담 줄임. | 더운 날씨 혹은 운동 후 단맛 없이 우려 마시거나 약간 냉침(iced)으로 마시면 상쾌함 높음. |
무카페인 허브차 (Herbal Teas) 예: 루이보스, 카모마일, 민트, 레몬 밤(lemon balm) 등 | 카페인 없음 → 이뇨작용(diuretic effect) 적음, 위 자극이나 수면 방해가 적음. | 식후, 취침 전, 수분 필요량이 많은 오전/오후 시간대 적합. |
녹차 / 블랙티 (moderate caffeine tea) | 항산화제, 플라보노이드 등 유익 물질 포함. 탈수 상태(reset) 후 또는 평소 수분 유지에 도움 됨. | 카페인에 민감하지 않은 사람에게 하루 2~3잔이 적당. 너무 진하게 우려 마시는 것 피함. |
3. 물 대신 마시면 안좋거나 주의해야 할 차 종류
아래 차들은 물을 대신해 마시는 데 있어 주의하거나 가능한 한 피하는 것이 나은 차들이다.
차 종류 | 문제점 / 주의 이유 |
---|---|
고카페인 차(Strong Tea) – 예: 진한 홍차, 일부 말차나 패션티, 또는 블렌디드 허브+녹차 등이 포함된 것 | 카페인 함량이 높을 경우 이뇨작용 증가 → 소변량이 늘어나 수분 손실 ↑. 수분 보충이 불균형해질 수 있음. 특히 탈수 상태거나 더위 속에서는 불리함. |
당 첨가 차 / 시럽 차 / 밀크티 등 | 설탕(sugar)이나 우유(milk)가 많이 들어가면 칼로리 과잉, 혈당 급격 증가 유발. 또한 당분이나 우유가 오래되면 위장 불편이나 미생물 증식 가능. 수분 보충보다는 포만감 등 부가 효과가 강해 “물 대체”로서는 비효율적. |
인터넷 – 카페인 기반 에너지 – 티 제품 | 일부 티 음료나 티 기반 에너지 음료는 카페인 과다, 인공첨가물 많음. 하루 권장 카페인 수치(보통 성인은 약 400mg 미만) 넘어가는 경우도 있음. 수면 방해, 불안, 심박수 증가 등의 부작용 가능. |
약용 허브차 중 특정 성분 함유한 것 | 일부 허브(예: 세인트 존스 워트, 감초 허브, 일부 민간 약초)는 다른 약물과 상호작용하거나 임산부 등에 부적합할 수 있음. 성분이 강하거나 알러지 유발 가능성 있음. |
4. 팁: 물과 차를 조화롭게 마시는 방법
- 하루 권장 수분량의 기준: 일반적으로 성인은 하루 2~3리터 정도의 수분(음료 + 음식)이 권장됨. 차만 마시는 것보다는 물 + 차 조합이 좋음.
- 카페인 민감성 고려: 밤에 카페인 있는 차를 마시면 수면 방해 가능성 존재하므로 무카페인 또는 허브차 선택.
- 당분/첨가물 조절: 차에 설탕, 꿀, 시럽 등을 넣을 경우 “수분보충” 외에 당분 섭취도 증가하므로 조절 필요.
- 온도 변화: 뜨거운 차 vs 아이스 차는 몸의 열 조절이나 수분 보유에 미묘한 영향을 줄 수 있음. 더운 날에는 미지근하거나 차갑게 해서 수분 섭취량 높이는 것이 유리할 수 있음.

물이 가장 순수하고 안전한 수분 보충원이다. 하지만 무카페인 허브차, 히비스커스 차, 녹차·검정차(적당한 양)는 물 대신 또는 물과 병행해 마셔도 수분 보충에 도움이 된다. 반대로 고카페인 차, 많은 당분이나 우유 등이 첨가된 차, 일부 강한 약효 허브차는 수분 보충 목적으로는 피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