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이 턱 막힌다 싶으면 늦은 거다”… 폭염 속 온열질환, 이렇게 대처해야

image 52

장마가 끝나자마자 한낮 기온이 35도를 웃도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기상청은 올여름이 예년보다 더 길고, 더 뜨거울 것으로 전망했다.
이럴 때 가장 주의해야 할 것은 ‘온열질환’이다.
열사병·열탈진·열경련 등은 모두 체온조절 기능이 마비되면서 생기는 급성질환이다.
제때 식별하고 적절히 대응하지 않으면 생명에 위험이 생길 수도 있다.

■ 온열질환, 대표 증상은 이렇다

온열질환은 일반적으로 다음 3가지로 나뉜다.

열탈진(heat exhaustion):

  • 과도한 땀 분비로 인한 탈수 상태
  • 증상: 어지럼증, 두통, 구역질, 식은땀, 맥박 증가
  • 이 단계에서 적절히 대처하면 회복 가능

열경련(heat cramp):

  • 과도한 운동이나 땀 배출로 체내 염분·수분 부족
  • 증상: 종아리, 복부, 어깨 등에서 근육 경련

열사병(heat stroke):

  • 가장 위험한 단계. 체온이 40도 이상 올라가며 중추신경 마비
  • 증상: 의식 저하, 발한 없음, 피부가 건조하고 뜨거움
  • 즉시 병원 이송이 필요하다.
    ※ 열사병은 119 신고 후 응급처치 없이 방치하면 사망률이 높다.

■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다… 특히 고령층, 실외 근로자 위험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최근 5년간 온열질환자는 연평균 1,200명 이상이다.
특히 전체 환자의 40%가 60세 이상 고령층,
25%는 **실외 작업자(건설·농업 등)**로 나타났다.

에어컨 없는 실내, 통풍 안 되는 차량 내부도 마찬가지다.
심지어 유모차 속 유아도 체온이 급격히 올라갈 수 있다.
자신이 위험군인지 자각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더 조심해야 한다.


■ 온열질환 예방 수칙

폭염특보가 내려졌을 땐 외출을 피하는 게 최선이다.
하지만 unavoidable한 일정이 있다면, 다음 수칙을 기억하자.

  • 외출은 오전 10시 이전, 오후 5시 이후로 제한
  • 헐렁하고 밝은 색 옷차림, 챙 넓은 모자 착용
  • 30분 간격으로 수분 섭취, 갈증을 느끼지 않아도 마신다
  • 알코올, 카페인, 당분 많은 음료는 피할 것
  • 어지럽고 두통이 시작되면 즉시 그늘이나 실내로 이동

image 53

■ 응급상황, 이렇게 대처하자

온열질환이 의심될 때 가장 중요한 건 빠른 판단이다.
증상이 심하지 않다면 다음과 같이 응급조치를 한다.

  1. 시원한 곳으로 옮기기 (그늘, 에어컨 있는 실내)
  2. 옷을 느슨하게 풀고, 차가운 물수건이나 얼음팩으로 겨드랑이·목·사타구니를 집중 냉각
  3. 의식이 있다면 수분을 천천히 섭취
  4. 증상이 나아지지 않으면 바로 119에 신고

열사병이 의심되면 지체 없이 병원으로 옮겨야 한다.
이때 단독 운전보다 구조 요청이 우선이다.


⬇ 온열질환 예방법 요약

구분예방법
복장얇고 밝은 옷, 모자 착용
수분갈증 없어도 30분 간격 수분 섭취
외출오전 10시~오후 5시 외 활동 자제
증상어지럼증, 구토, 두통 → 즉시 휴식
대처냉각+수분공급, 119 신고 우선

폭염은 단순히 더운 날씨가 아니라 건강을 위협하는 재난이다.
특히 여름휴가철 이동이 많아지는 시기엔
더더욱 몸의 신호에 민감해야 한다.
숨이 차거나, 어질어질하거나, 땀이 멈췄다면
이미 늦었을 수 있다.
무더위를 무사히 넘기려면, 예방이 최선의 치료다.

위로 스크롤